성경의 인물

나훔 (Nahum)

하늘향기내리 2006. 9. 5. 15:10

 

 

@ 관계성구

 

 

[나1;1-8]

 

니느웨에 대한 중한 경고 곧 엘고스 사람 나훔의 묵시의 글이라 여호와는 투기하시며 보복하시는 하

 

나님이시니나 여호와는 보복하시며 자기를 대적하는 자에게 진노를 품으시며 여호와는 노하기를 더

 

디 하시며 권능이 크시며 죄인을 사하지 아니하시느니라 여호와의 길은 회리바람과 광풍에 있고 구름

 

은 그 발의 티끌이로다 그는 바다를 꾸짖어 그것을 말리우시며 모든 강을 말리우시나니 바산과 갈멜

 

이 쇠하며 레바논의 꽃이 이우는도다 그로 인하여 산들이 진동하며 작은 산들이 녹고 그의 앞에서는

 

땅 곧 세계와 그 가운데 거하는 자들이 솟아 오르는도다....

 

 

 

 

 

@ 배경과 해설

 

 

 그의 이름이 의미하는 것처럼 그는 앗수르의 횡포와 잔악함에 시달린 유다 백성들을 위로하기 위하

 

여 하나님의 성품을 들어서 그들을 위로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백성을 지나치게 학대하여 하나

 

님의 생각과 어긋나게 행동하는 앗수르를 묵과하시지 않고 반드시 보복하신다는 하나님의 공의의 속

 

성을 들어서 말헸다.

 

 

 

 

 나훔은 유다 출신 엘고스 사람으로서 히스기야왕 때에 예언을 한 열두 소선지서 중 나훔서를 기록한

 

선지자이다 (나1;1-8). 그는 포악항 앗수르가 멸망할 것을 예언했다.그의 예언이 선포된 정확한 연대

 

는 알 수 없으나 대략 B.C 663-612년 경으로 추정된다. 그러니까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가 멸망된 B.C

 

612년 바로 몇 년전이었을 것이다. 당시 대강국인 앗수르가 이스라엘을 침범하여 열 지파 사람들을

 

포로로 잡아 갔을 때 나훔은 탈출하여 유다로 갔던 것이다. 나훔 선지지는 앗수르의 죄중에서 두 가지

 

를 지적했다.

 

 

 

 

 첫째는 군사력을 무자비하게 사용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비양심적인 교역을 지적했다. 주변국가들은

 

 아부와 부패로 정복민들의 사치와 악을 만족시켜 주었으며 상인들은 온갖 종류의 우상과 세공품을

 

팔았다. 그들에게 있어서 정직과 도덕은 사라져 버리고 없었다. 오직 쾌락과 향락뿐이었다.(나3;1-2).

 

그는 니느웨는 망할 것이라는 메시지만을 반복했다. 그는 개인이나 국가가 의로 돌아설 것을 언급하

 

지 않고 종교절기들을 지킬 것을 호소했다.

 

 

 

 

 나훔의 예언은 불과 세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거의 모드가 시로 되어 있고 산문으로 된 것은

 

몇개의 단편들뿐이다. 그는 상당히 유능하고 독창적인 시인으로 그 시적 문체는 생동감이 있고 극적

 

이다. 그는 세개의 장을 통하여 한 번도 '하나님'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여호와'라고만 하였다. 이 명

 

칭은 '스스로 있는자.지존자'라는 뜻이다. 또 그 기원을 찾아 보면 말씀하는 자, 뜨겁게 사랑하는

 

자, 폭풍을 일으키는 자, '전멸 시키는 '란 뜻도 있다. 그러니까 여호와는 공의와 자비를 겸하여

 

섬기시는 분이시라는  것을 나훔은 그의 백성들에게 강조했다.

 

 

 

 

 니느웨는 이스라엘과 항상 대립관계에 있는 앗수르의 수도인데, 함의 손자 니므롯이 세운 성이었다

 

(창10;10). 하나님께서는 범죄한 이스라엘을 심판하기 위해서 앗수르를 몽둥이로 사용하셨다. 앗수르

 

군대는 여러 번 이스라엘을 공격하고 와서 도성을 훼파하고 인명을 학살하고 인질로 사로잡아 가는

 

등 여러가지 잔악한 행위를 자행하였다. 이렇게 잔혹한 성 니느웨에 대해서도 하나님께서는 오래 참

 

으시사 회개할 기회를 주셨다. 선지자 요나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그 도성에 가서 외쳤다. "사십

 

이 지나면 니느웨가 무너지리라"는 것이었다. 그러자 그곳에 회개 운동이 일어났다. 그 백성이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며 겸손히 회개하였다. 왕이 전국에 회개하라는 조서를 내렸고 짐승까지

 

금식시키는 철저한 회개운동이 실행되었다(욘3;4-8).

 

 

 

 그렇게 해서 그들은 하나님의 자비하심을 입고 멸망 지전에 구원받은 경험이 있었다. 그 후 150년의

 

세월이 지나고 그들은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버리고 계속 포악한 행위를 자행했다.

 

 

 

 

 

@ 교 훈

 

 

1, 나훔의 예언은 니느웨의 멸망을 보여 준 것으로 하나님의 공의와 엄위를 나타낸다. 이 예언대로 바

 

벨론 왕국은 멸망하고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그들이 잔혹했던 만큼 자신도 잔혹하게 멸절된 것이

 

다. 따라서 이스라엘은 압제자의 손에서 구원을 얻고 자유를 얻었다.

 

" 그러나 여호와께서 기다리시나니 이는 너희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심이요 일어나시리니 이는 너희

 

를 긍휼히 여기려 하심이라 대저 여호와는 공의의 하나님이시니라 무릇 그를 기가리는 자는 복이 있

 

도다(사30;18)"

 

 

 

2, 나훔은 자기 백성에 대해서는 심판이나 징벌을 한마디도 선포하지 않았고 오직 위로의 말만 하였

 

다. 나훔은 왜 자기민족의 죄나 영적, 도덕적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고 .니느웨의 심판에만 집중

 

했을까? 아마도 당시 이스라엘은 요시야의 개혁이 상당히 성공을 거두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그

 

는 니느웨의 멸망을 외치며 하나님의 공의만을 선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3, 나훔이라는 동명이인으로는 예수님의 족보 중에 한 사람이 있다(눅3;25)

 

 

 

 

 

@ 묵 상 성 구

 

 

"그때에 너를 보는 자가 다 네게서 도망하며 이르기를 니느웨가 황무하였도다 누가 위하여 애곡하며

 

내가 어디서 위로할 자를 구하리요 하리라 하시는도다(나3;7)"

 

 

 

 

'성경의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아 (Noah)  (0) 2006.10.17
납달리 (Naphtali)  (0) 2006.10.13
나하스 (Nahash)  (0) 2006.08.19
나오미 (Naomi)  (0) 2006.08.11
나아만 (Naaman)  (0) 2006.08.10